FAQ
Q.소비기한 표시제 (안내)
A.

2023년 1월 1일부터 영업자 중심의 유통기한에서 소비자 중심의 소비기한 표시제로 변경됩니다.

 

저희 크라운제과는 제품별 순차적으로 소비기한 표시제를

적용할 계획이오니 참고하여 주십시오.

 

소비기한 표시제에 대한 상세내용은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Q.쿠크다스 포장지에 ‘밀크크럼’은 오타 아닌가요?
A.

패키지 전면에 적혀 있는 '밀크크럼' 은 우유 등을 가공하여 만든 가공품의 제품명 이며,
쿠크다스에 들어가는 원재료명 중에 하나이므로 ‘밀크크림’이 아닌 '밀크크럼' 표기가 맞습니다.

 

아울러 제품 후면에 표기 되어있는 밀크 크림은 쿠크다스에 샌딩 되어 있는 크림(우유풍미의 크림)을 표기 한 내용 입니다.
원재료명과 크림을 한 패키지 안에 표기하다 보니 많은 분들께서 오타로 인지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초콜릿이 상한것 같아요.
A.

초콜릿은 제조 후의 보관,저장,유통과정에서의 취급이 적절하지 못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특히 높고 낮음의 편차가 큰 경우에는 초콜릿 고유의 광택 있는 흑갈색 표면이 광택을 잃고 표면이 꺼끌하거나, 하얀 반점들이 생겨 마침내는 내부조직까지 윤기가 없어지게 됩니다.

 

초콜릿 표면이 하얗게 변색되는 블룸현상은 인체에 유해하지는 않으나 식감이 떨어지고 맛이 없어지는 단점이 생깁니다.

 

블룸 : 블룸이란, '꽃'이라는 의미로 초콜릿 표면에 하얀 줄기가 생기거나, 하얀 분을 칠한 것처럼 하얀 반점이 생기는 것이 꽃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블룸 현상은 코코아버터가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팻블룸」과 설탕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슈가블룸」을 들 수 있습니다.

 

1)팻블룸(Fat Bloom) : 초콜릿에 함유된 코코아버터가 28도 이상의 고온에서 녹아 설탕,카카오매스,분유 등이
분리되었다가 다시 굳어졌을 때 표면으로 베어나오는 현상

 

2)슈가블룸(Sugar Bloom) : 초콜릿에 포함된 설탕이 수분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동그란 결정체를
형성하는 현상

Q.빈봉지가 들어 있어요.
A.

소포장 일매는 고속으로 자동 포장 공정이 이루어지다보니 포장지 안에 제품이 누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여 포장공정 이후 빈봉지를 제거하는 장치가 따로 있지만, 간혹 완제품 포장에 함께 들어가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개수 포장이 아닌 표시 중량으로 무게를 달아 포장을 하고 있으며, 제품 겉면에


"생산공정상 간혹 빈 봉지가 나올 수 있으나 컴퓨터로 계량하므로 중량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라는 문구를 표기를 해서 운영하고 있으므로 정상제품으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Q.과자에서 살아있는 벌레가 나왔어요.
A.

일반적으로 제품 제조 시 가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벌레가 공정 상 들어갈 수는 없습니다.
또한 벌레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처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모두 사멸됩니다.

 

벌레가 살아 움직인다면 유통이나 소비과정에서 들어간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화랑곡나방의 유충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발견되는 유충으로 어디든지 유입이 가능하며 기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품이 습하고 기온이 높은 곳에 보관되는 환경에서는 화랑곡나방의 유충이 유입되기 쉽습니다.
이 벌레는 잡식성이라 먹지 못하는 것이 없고 턱이 발달되어 포장지를 뚫고 유입이 되기도 합니다.

 

포장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벌레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Q.취식중 금속이 나왔습니다.
A.

제조공정에서 금속검출기나 X-RAY를 통해 검수하여 제품을 내보내기 때문에 작은 금속까지도 잡아내어
실제로 과자에 금속이 들어갈 가능성은 매우 희박합니다.

 

제품을 드시던 중 금속으로 의심되는 이물질이 발견된 경우 치아에서 빠진 치아보철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치아보철은 딱딱하고 찐득한 음식 뿐 아니라 부드러운 것을 드시는 경우에도 빠질 수 있습니다.
치아보철은 금속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금속과 달리 깨질수도 부분탈락이 될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치아보철이 아닌지 가까운 치과방문을 통해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Q.모양을 알아볼 수가 없어요
A.

일반적으로 과자는 유통이 되면서 취급 부주의로 인해 파손이 되거나, 높은 온도에 노출이 되어
제품이 녹아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정한 보형성을 유지할 수 있게 제품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운영하지만 유통과정 혹은 유통환경에 따라
파손/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TOP